본문 바로가기
유튜브 초보 가이드

유튜브의 광고와 수익 지급 방법 알아보기

by 유튜브 성공자 2024. 4. 30.
반응형

유튜브를 보다 보면 광고가 나오는 것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이 광고의 종류와 광고 수익의 정산 및 지급 방법, 광고 수익 지급을 위한 애드센스 환경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튜브 광고 수익을 보는 사람

 

유튜브의 광고

유튜브 광고는 시용자가 보는 위치에 따라 해당 국가의 광고가 붙습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위치란 유튜브 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국가를 의미합니다. 유튜브 동영상이 재생이 되고 이 동영상에 광고를 붙일 수 있는 여건이 된다면 구글은 광고주로부터 가져온 광고를 보여 줍니다. 한국에서 만든 영상이더라도 이 영상이 미국에서 재생되면 구글 미국에서 판매된 광고가 붙으며, 일본에서 재생되면 구글 일본에서 판매된 광고가 붙게 됩니다. 영상이 어느 국가에서 재생 중인지는 사용자의 IP 주소로 판단하므로 유튜브 하단의 사용자의 국가 설정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국가별 광고 판매 구조는 어느 국가에서 영상을 많이 보는가에 따라 전체적인 수익 차이를 발생시킵니다. 비슷한 조회수나 시청시간이더라도 광고 단가가 높은 국가에서 많이 보는 영상은 수익이 상대적으로 높고, 광고 단가가 낮은 국가에서 많이 보는 영상은 수익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광고의 종류에 따라서 광고 단가도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배너 형태의 오버레이 광고의 단가가 낮고, 동영상 광고 형태인 인스트림 광고의 단가가 높습니다. 또한 인스트림 광고 중에서도 건너뛰기가 가능한 트루뷰 광고가 되지 않는 광고에 비해 단가가 높습니다. 트루뷰 광고의 경우 동영상 시청자가 언제든지 광고를 건너뛸 수 있기 때문에 광고 길이가 제한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광고의 길이가 30초 이상 길 경우 30초 이상 광고를 보았을 때, 광고가 30초보다 짧을 때는 광고를 끝까지 보았을 때, 광고주가 광고비를 지불하게 됩니다. 언뜻 생각하면 모든 사람이 광고블 건너뛰기 때문에 트루뷰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가장 작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 통계로 확인해 보면 트루뷰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다른 광고에 비해 가장 높습니다. 즉 생각보다 사람들이 [건너뛰기 ] 버튼을 누르지 않는다는 것과, 30초 이상 본 경우 광고주가 지불하는 광고비가 다른 종류의 광고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기 때유에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익스트림 광고(동영상 광고)가 오버레이 광고(배너 광고)에 비해 광고 단가가 높아서 동영상을 업로드한 크리에이터 입장에서는 항상 인스트림 광고가 나오기를 기대합니다. 하지만 동영상을 보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인스트림 광고가 오버레이 인비디오 광고에 비해 훨씬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하므로 성가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용자가 더 많은 동영상을 보게 하려면 사용자 경험을 생각해야 하고, 유튜브에서는 이를 고려해 인스트림 광고가 한 번 보이면 일정 시간 동안 인스트림 광고가 보이는 것이 아니라 오버레이 광고가 보이도록 설정했습니다. 과거에는 7분으로 그 시간이 정해져 있었으나, 현재에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서 그 시간이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유튜브에서는 동영상의 앞, 뒤 혹은 중간에 나가는 영상 광고를 '인스트림(Instream) 광고'라고 합니다. 인스트림 광고는 [5초 후 건너뛰기] 버튼이 제공되는 '트루뷰 광고'와 건너뛰기가 되지 않는 '일반 인스트림 광고'로 나뉩니다. 인스트림 광고는 일반적으로 15초 혹은 20초로 정해져 있는데, 동영상의 어느 위치에 붙는지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 이름을 가집니다. 동영상이 재생되기 전에 붙으면 '프리롤(Prerll)' 재생되고 나서 붙으면 '포스트롤(postroll)', 영상 중간에 붙으면 '미드(midroll)'이라고 합니다. 배너 광고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동영상 위에 나타난다고 해서 '오버레이 광고'라고 합니다. 광고 위의 X버튼을 클릭하면 광고가 사라집니다.

 

광고 수익의 정산 및 지급 방법

유튜브의 광고 수익은 매월 단위로 정산되며, 애드센스 계정에 정산 금액이 적립됩니다. 적립된 정산 금액이 100달러가 넘으면 수익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이 수익을 지급받는 방법은 크게 수표 지급, 웨스턴 유니언으로 송금, 계좌 이체가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웨스턴 유니언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지 않으므로 수표로 지급받거나 계좌 이체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법인의 경우에도 수표 지급과 계좌 이체 두 가지가 모두 가능합니다. 지급 시기는 매월 말일 마감된 수익이 익월 15일 이전에 확정되어 애드센스 계정에 적립이 됩니다. 이때 애드센스 계정의 수익은 최종 지급 금액으로 차액 반올림, 무효 클릭 추가 차단 등의 이유로 분석 페이지에서 보이는 예상 수익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에 적립된 수익은 적립된 달의 말일 이전에 지급됩니다. 계좌 이체로 수익이 지급되면 지급 후 일주일 내로 은행을 통해 인출이 가능하고, 수표로 지급될 경우 수표가 발행되어 우편으로 도착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합니다. 수표 송부는 일반 우편과 속달 등기 우편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일반 우편의 경우 국제 편지 형식으로 배달되기 때문에 최소 2주 이상 기다려야 합니다. 속달 등기 우편은 DHL 배송 서비스를 말합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매번 24달러를 지불해야 하는 부담이 있지만, 일반 우편보다 빠르고 DHL의 트래킹 번호(Tracking Number)도 제공되므로 안전하게 송부받을 수 있습니다. 수표로 지급받을 경우에는 구글이 발행된 외환 수표를 우편으로 받게 되는데, 받은 수표를 들고 은행에 가서 '추심’이라는 절차를 통해 외환 수표를 현금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거래은행에 문의하면 됩니다. 2014년부터 한국에서 웨스턴 유니언으로 지급받는 방식은 없어지고 계좌 이체로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에 사신의 은행 계좌를 등록하면 해당 계좌로 수익금이 이체됩니다.

광고 수익 지급을 위한 애드센스 환경 설정하는 방법

광고 수익을 제대로 받기 위해서는 다음 네 가지 설정을 모두 마쳐야 합니다. 일부 설정의 경우 수익 적립금의 규모에 따라서 가능하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1. 애드센스 승인 메일을 받고 http://adsense.google.com에 처음 접속을 하면 이용 약관 페이지가 나옵니다. 이용약관을 잘 읽어 보고 '예, 이용약관을 읽고 동의했습니다.'를 선택하고 [ 내 애드센스 계정으로 가기 ] 버튼을 누릅니다. 2. 애드센스에 쌓은 총수익이 10달러 이상 되면 구글에서 개인식별번호(PIN 번호)가 적힌 엽서가 애드센스 가입 주소지로 우편 송부됩니다. 이 엽서를 받게 되면 애드센스 사이트(adsense.google.com)에 로그인을 하고 주소 증명을 해야 합니다. 3. 애드센스에 로그인한 후 설정 아이콘을 눌러 '개인 설정'을 클릭합니다. 4. 왼쪽 메뉴에서 '계정 정보'로 들어갑니다. '주소 확인'에서 '주소 인증'을 누르면 주소 인증 페이지로 들어갑니다. 5. PIN 입력란에 엽서에 인쇄된 PIN 번호를 입력하고 [ PIN 제출 ] 버튼을 누릅니다. 6. 애드센스에 적립된 수익이 100달러 이상이 되면 적립된 수익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을 위해서는 지급 방식을 선택하고 세금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먼저 지급방식을 선택해 보겠습니다. 애드센스에 로그인한 후 설정 아이콘을 눌러 '지급'을 클릭합니다. 7. 왼쪽 메뉴에서 '지급 설정'으로 들어가서 '새 결제 방법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8. 은행 계좌로 송금받을 경우 '은행 계좌로 송금 자세히 알아보기'를 선택하여 예금주, 은행 이름, SWIFT 은행 식별 코드, 계좌번호를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정보는 모두 영어로 입력합니다.(알아두세요! SWIFT 코드는 각 은행에 할당된 외환 거래를 위한 고유 코드로 거래 은행에 문의하면 됩니다.) 9. 만약 은행 계좌로 송금받지 않고 수표로 받을 경우 '수표 자세히 알아보기'를 선택하고 수표를 받을 주소를 확인한 후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10. 이제 세금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애드센스에 로그인한 후 설정 아이콘을 눌러 '지급'을 클릭합니다. 11. 왼쪽 메뉴에서 '수취인 프로필'에 들어갑니다. Tax profile에서 '세금 정보 업데이트'를 클릭합니다. 12. 세금 정보 내역을 입력한 뒤 [계속] 버튼을 누릅니다. 일반적으로는 한국에서 유튜브를 하는 경우 전부 'No'를 선택하면 됩니다. 13. 내용을 읽어보고 해당 내용이 맞다는 서명을 위해 자신의 이름을 두 군데에 입력하고 [Submit] 버튼을 누르면 끝이 납니다.

반응형